반핵동향

2027년까지 火電 18기 추가…원전은 미정(종합2보)

2027년까지 火電 18기 추가…원전은 미정(종합2보)

 

 

6차 전력수급계획 확정, 예비율 22% 목표 내년부터 전력난 해소

민간회사 발전사업 대거 진출, 신재생에너지 12%로 확대

(서울=연합뉴스) 이세원 기자 = 늘어나는 전력수요에 맞춰 화력발전소 18개의 건설을 새로 추진한다.

진행 중인 것 외에 원자력 발전소를 더 만들지는 미정이다.

지식경제부는 22일 전력정책심의회를 열어 2027년까지의 정책을 담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했다.

정부는 2027년 여름에 최대전력수요가 1억2천674만㎾에 달하므로 2천957만㎾의 발전 설비를 늘려야 한다고 판단했다.

이를 위해 석탄 1천74만㎾(6개사·12기), LNG 506만㎾(6개사·6기) 등 화력발전설비 1천580만㎾를 더 짓도록 기업의 건설 의향을 계획에 반영했다.

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돼 추진 중인 화력 설비 43기 외에 18기를 더 만드는 것이다.

추가분 가운데 1천198만㎾는 적정 예비율을 유지하려는 것이고 382만㎾는 불시 정지·사고 등 돌발 상황 대비용이다.

GS EPS, 대우건설, SK E&S, 현대산업개발, 동부하슬라, 동양파워, 삼성물산, SK건설 등 민간기업의 화력발전 계획이 다수 반영됐고 공기업은 남동·중부·남부·서부발전 등 4곳만 수용됐다.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은 전력산업 민영화라고 비판했다.

열을 공급하며 부수적으로 발전(發電)하는 집단에너지 사업으로 371만㎾를 조달한다.

수력·태양력·풍력·조력·바이오폐기물·연료전지·부생가스·석탄가스화복합발전(IGCC) 등 신재생 설비로 456만㎾를 채운다.

그러나 원전 추가 건설은 결정을 미뤘다.

한국수력원자력이 추진 의사를 밝힌 원전 4기(600만㎾)를 계획에 반영할지의 판단은 보류했다. 5차 계획에 반영된 11기는 2024년까지 예정대로 짓는다.

지경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민 불안이 커진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.

만약 이들 원전을 짓지 않기로 하면 화력발전소를 더 만들 전망이다.

공청회와 국회 논의 과정에서 문제가 된 인천만과 아산만 조력발전 사업은 추진 여건이 성숙할 때까지 보류하기로 했다.

정부는 전력예비율은 높여 공급을 안정시키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것을 6차 계획의 주요 목표로 삼았다.

5차 계획 때는 전력 예비율 18%를 목표로 잡았는데 22% 이상을 확보하기로 했다.

지경부는 올해 여름까지는 수급불안이 있지만, 내년부터는 설비 예비율이 16%를 넘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.

2008년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수립 당시 7%로 설정한 신재생에너지의 2027년 발전량 비중을 12%로 확대한다.

에너지원별 설비용량을 보면 2027년에 유연탄이 28.2%, 원전 22.7%, 신재생에너지 20.2%가 된다.

수요가 절정에 달했을 때 공급기여도는 각각 유연탄 34.1%, 원자력 24.7, 신재생에너지 4.5%다.

전력수급기본계획은 2년마다 세운다. 원래 작년 말에 확정해야 했으나 늦어졌다.

또 장기 송·변전설비 계획은 추후에 전기위원회에서 심의하게 한다며 확정하지 않았다.

대신 전력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설비를 제때 확충하고, 전압안정성을 높이는 등 전력 계통의 신뢰도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점 등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했다.

sewonlee@yna.co.kr